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7월 6일 최신 분석: 비트코인 반감기 이후 시장 변화 총정리

by pauloly 2025. 7. 6.
반응형

1. 서론 – 네 번째 반감기 이후 15개월, 유동성 판도를 바꾸다

2024년 4월, 비트코인은 네 번째 반감기를 맞이하며 블록 보상이 6.25 BTC에서 3.125 BTC로 절반 감소하였다. 그로부터 15개월이 지난 2025년 7월 현재, 비트코인은 단순한 자산을 넘어 글로벌 유동성 재편의 중심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2025년 5월 22일에는 112,000달러를 돌파하였고, 7월 6일 기준으로도 약 108,000달러 수준에서 견조한 지지선을 형성하며 상승 흐름을 유지 중이다. 이러한 흐름은 단순히 공급 축소에 따른 희소성 때문만은 아니다. 현물 ETF 승인, 제도화 진전, 국가 단위의 채택 확대 등 복합적 요인이 맞물리며 비트코인은 명실상부한 글로벌 자산으로 자리잡고 있다.

2. 공급 구조 – 95% 가까운 채굴률이 만드는 희소성 압력

연도 블록 보상(BTC) 누적 채굴량(백만 BTC) 전체 대비 비율(%)
2009 50 0.05 0.2
2012 25 10.5 50.0
2016 12.5 15.8 75.0
2020 6.25 18.4 87.6
2024 3.125 19.5 93.0
2025.7 동일 19.89 94.7

 

총 발행량 2,100만 BTC 중 94.7%가 이미 채굴 완료된 현시점에서, 남은 공급량은 고작 5.3%에 불과하다. 이는 비트코인의 공급 구조가 갈수록 내재적 긴축 정책의 특성을 강화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장기적으로 가격 상승 압력을 유지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3. 가격 동향 – 반감기와 ETF가 맞물린 상승 사이클

① 지연된 랠리와 패턴 반복
반감기 직후 첫 3개월간 비트코인은 60,000~70,000달러 구간에서 횡보했으나, 반감기 + 8개월 시점부터 ETF 유입 효과가 본격화되며 강한 상승 전환이 나타났다. 과거 패턴과 유사한 지연형 랠리 구조가 반복되고 있다.

 

② 현물 ETF 자금 유입
2024년 1월 승인된 미국 내 현물 ETF 10종의 누적 순유입액은 493억 달러를 기록 중이다. 특히 블랙록의 IBIT는 AUM 520억 달러로 同사의 S&P500 ETF를 초과했으며, 일평균 1억 달러의 순유입이 있을 경우 비트코인 가격은 평균 0.8% 상승하는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2024 Q2~2025 Q2 기준).

 

③ 거시 변수와 시장 심리
미국의 금리 동결 기조 및 감세 정책, 우크라이나·러시아 간 휴전 기대는 위험자산 회복을 지지하고 있다. 다만, 미-EU 간 무역 관세 갈등,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 등은 단기 변동성 요인으로 작용 중이다.

4. 채굴 산업 – 효율성 전환과 산업 재편

해시레이트: 2025년 6월 30일 기준 사상 최고치인 1,222 EH/s 달성 후 현재 847 EH/s로 일시 하락.
전력 효율: 평균 28.2 J/TH로 전년 대비 24% 향상.
무탄소 전력 사용률: 52.4%에 달함.

대형 채굴사(MARA, RIOT 등)는 녹색채권 발행과 AI HPC 인프라 도입을 병행하며 수익성과 ESG 평가 모두를 강화하고 있다. 반면, 소형 채굴사는 전력 비용과 장비 교체 부담으로 인해 해시 임대 모델로 전환하거나 인수·합병되는 추세다.

5. 제도 및 채택 – 제도 명확화 + 국가 단위 매수 확산

구분 주요 업데이트 (2024~2025) 시사점
EU MiCA 본격 시행 (2024-12) – 커스터디, 스테이블코인 규칙 확정 기관 자금 유입 확대, 투자자 보호 강화
미국 현물 ETF 승인, IRA 편입 허용, SEC·CFTC 관할 조정안 상정 제도권 투자 채널 다각화, 가격 안정성 확대
엘살바도르 2025-06 기준 추가 32 BTC 매입 (총 보유 ≈ 6,100 BTC) 국가 차원의 준비자산 확대, 장기 매수 기조 유지

6. 투자 전략 – 2025년 하반기 투자 체크포인트

- 분할 매수 & 저비용 ETF 병행: 직접 보유 리스크를 줄이며 유동성 확보.
- 해시레이트 및 채굴원가 추세 주의: 가격이 채굴원가 대비 과열된 구간에서는 일시 조정 가능성.
- 규제 캘린더 점검: MiCA RTS 세부 지침 발표(8월 예정), G20 글로벌 암호화폐 과세 가이드라인 발표 전후 변동성에 유의할 것.

반응형